2013년 7월 31일 수요일

Snowpiercer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축약판, 설국열차(Snowpiercer)

스노우 피어서는 말 그대로 쇄빙열차를 말하며 또한 송곳같이 생긴 설국열차의 외관을 의미하기도 한다. 광고에서 말한 기차에서 칸으로 나누어진 계급에 대한 투쟁은 표면적으로 보이는 도구일 뿐이다. 봉준호 감독은 이 도구를 통해 보다 더 깊은 내부의 이야기를 하고 싶어한다.
부풀려서 해석하자면 전쟁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이 될 수도 있으며, 국가란 시스템의 정당성에 대한 질문이기도 하다. 이 부분에 대한 질문은 주인공 커티스에게, 답은 관객의 몫으로 돌리고 있다. 커티스는 설국열차의 아이러니함을 경험하는 혼돈의 중심이 될 인물로 그려지는데, 크리스 에반스의 연기에 대해선 뒤에서 다시 이야기 하기로 하자.

관람 포인트는 인류 종말의 시대에 어쩔 수 없이 만들어진 설국열차의 묘사가 단순히 이 SF영화의 전부가 아니란 것이다. 열차의 중심에 있는 물, 그리고 바퀴벌레를 갈아 만든 프로틴바(양갱같이 생겼다). 가장 머리칸에 있는 엔진의 상징성은 이 영화를 즐길 수 있는 핵심 구조들이다. 말그대로 순수(pure)한 엔진은 많은 부품속에 인간이 위치해야하는 불완전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지구와 인간의 관계를 상징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설국열차의 강력함은 기차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미려하게 그려낸 디스토피아적 세계관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런 무거운 분위기의 영화에서도 아직 봉준호의 색이 느껴지며, 그 속에서 송강호는 여전히 봉준호의 페르소나로서의 키(key)역할을 잘 소화하고 있다. 화려한 캐스팅에서도 명배우 존 허트와 에드 헤리스는 아우라를 펼치며 설국열차에 고스란히 녹아들었다.

이런 부분에도 불구하고 흥행에 회의적인 시각들이 많은데, 바로 느린 호흡이다. 헐리우드 스타일의 빠른 호흡에 익숙한 국내 관객들이 이 느린 호흡의 영화를 견뎌낼 수 있을까? 또한 설국열차는 관객들이 기대하는 ‘괴물’ 스타일의 영화가 아니다. 실제로 평단과 영화 마니아 층 관객들의 만족과 달리 주변의 평가는 그 반대점에 있었다. 또한 제이미벨, 옥타비아 스팬서의 좋은 배우들을 말그대로 소모해렸으며 주인공인 크리스 에반스의 연기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크리스 에반스의 원맨 영화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이야기의 초점은 커티스에게 맞춰져있다. 하지만 그 모순과 괴리 사이에서 혼란을 표현해야하는 그의 연기는 설국열차의 가장 아쉬운 점이 되었다.

이러한 장단점을 갖고 있는 설국열차에 대해 한가지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국내 감독이 만든 SF의 교과서 같은 작품이 될 것이라는 점이다. 무엇보다 SF를 좋아하는 관객이라면 설국열차에 환호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인상적인 장면
빙하기가 되어버린 풍경을 보며 흑인이 만들어 주는 초밥을 먹는 장면.
서로 대치하며 땀방울이 흐르는 긴박한 장면에서 복면을 쓴 장정들이 해피뉴이어를 외치며 축하하는 아이러니한 장면.




2013년 7월 30일 화요일

Before Midnight


나이를 먹어가는 제시, 셀린느를 함께 공감할 수 있는 관객의 영화.
9년 간격으로 나온 트릴로지의 마지막 편, 비포 미드나잇은 1편에서의 풋풋함과 2편에서의 열정은 없지만 세월이 녹아있는 우리의 인생, 사랑을 잘 투영했다.
관객들을 웃겼다가 심각하게 만드는 그들의 끊임없는 수다는 여전히 즐겁다.
관객과 같이 늙어가는 일상의 영화는 비포 시리즈가 유일무이하지 않나 싶다.(물론 대부라던가 시대의 흐름과 같이 가는 영화들이 없진 않다.)
1, 2편이 어느정도 맥을 같이 했다면 미드나잇은 꽤나 궤를 달리하는데 그러한 돌발적이고 우발적이며 감정적이고 충돌하는 흐름이 우리 인생과 매우 흡사하다.
자칫하면 뻔한 이야기로 갈 수 있었던 세번째 작품을 능글맞게 잘 만들었다는 생각이 든다.

★★★★☆

2013년 7월 22일 월요일

Entre Les Murs, The Class


교실, 그 조그마한 사회.
다양한 인종의 다양한 학생들, 그리고 선생님.
일반적인 교실의 풍경이 점점 무섭고 공포스럽게 다가온다.
아이들은 마냥 순수하지 않다. 선생님도 마냥 너그럽지 않다.
교실안에서의 갈등은 흡사 프랑스 사회의 축소판으로 보였다. 이간질 하는 아이들과 풀릴듯 보이다가 다시 꼬이는 사제간의 관계.
답은 있는 것일까?

2013년 7월 20일 토요일

Moon


감성 SF라는 그 미묘함.
던칸 존스의 소스코드를 너무 재미있게 봐서 뒤늦게 감상한 문은 역시나 실망스럽지 않았다. 그렇다고 모든 부분에서 만족할 수는 없었는데, 클론의 여부에 대한 반전에 대한 아쉬움 보다는 샘이 느끼는 그 감정선의 표현이 조금은 부족하게 느껴졌다. 관객들에게 충격을 이끌어내는 것이 이 영화의 카타르시스를 끌어내는 포인트는 절대 아니기 때문이다.
영화 자체가 상당히 미묘한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관객의 집중력을 끌어내는 능력은 거의 최고의 수준이다. 소스코드도 마찬가지로 던칸 존스의 SF 비틀기가 잘 진행되는데 문에서 SF적인 디테일은 살짝 아쉬움이 생긴다. 커티가 샘을 도와주게 되는 경위와 루나 인더스트리의 더러운 뒷배경을 조금 더 보여줬다면 이야기의 설득력이 더욱 강해지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2013년 7월 19일 금요일

The Master


인간의 유약함과 불안정성을 그린 PTA의 울림.
제목은 마스터지만 프레디의 이야기에 가깝다. 이 영화에서 호아킨 피닉스의 연기는 정말 형언할 수 없을 정도다. 내면이 망가져있는 인물, 프레디, 그 자체가 된 듯 보였다. 순간순간 연기를 통해 관객의 집중력을 극도로 뽑아내는데 소름이 돋을 정도다.
최면을 통한 심리치료 그리고 코즈의 이야기는 그저 도구일 뿐이다. 필립 세이모어 호프만과 호아킨 피닉스가 연기하는 그 표정과 몸짓에 담겨있는 의미. 한 두 번으로 이해하기 힘들다.
평단의 PTA 찬양이 절로 이해되는 작품이다.

2013년 7월 12일 금요일

Pacific Rim


남자의 로망을 불태워 버리는 길예르모 델 토로의 선물.
오랜만에 평가의 잣대를 들이대기 싫은 영화라고 해야할까?
수많은 부족한 점들이 보이지만 이 영화는 그런 평론을 하기 위해 보는 영화가 아니다. 남자라면 어렸을 적 로보트를 가지고 놀며 관련 애니메이션을 봤던 기억들이 있을 것이다. 그런 남자들의 향수를 위한 영화다.
엄청난 발전을 이룩한 VFX기술을 이용, 현란하고 묵직하고 웅장한 액션들을 펼치는데 입을 벌리며 완전한 몰입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아마 영화를 본 후 집시 데인저 피규어가 갖고 싶어질 것이다.

★ (객관적인 평가 배제)